현재가치 또는 화폐의 시간가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내가 로또 100억에 당첨됐는데
(1) 오늘 당장 받을 수 있는 경우와
(2) 1년뒤에 받을 수 있는 경우의 두가지 경우가 있다고 칩시다.
나는 기자들에게 들볶이는 걸 무지 싫어해서 로또복권을 다른 사람에게 팔려고 합니다.
이때 사려는 사람이 있다면 당연히 (2)의 경우 100억을 다 주고 사지는 않을 겁니다.
(1)의 경우 로또복권을 사려는 사람들로부터 형성되는 합리적인 가격이 100억이고,
(2)의 경우 형성가격이 예를 들어 90억이라고 합시다.
따라서, 아래의 등식이 성립됩니다.
90억 + 90억 x R = 90억 x ( 1 + R ) = 100억
계산하면 R = 10% 가 되고 10%가 의미하는 것은 로또복권을 사려는 사람이 로또복권을 사지 않고,
다른데에 투자해서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수익률이 연간 10%라는 것입니다. (기회비용 개념)
이런 내용을 회계처리에 결부시키면, 로또복권 당첨확인순간 다음과 같이 회계처리가 달라집니다.
(1)의 경우
(차) 미수금 100억 (대) 특별이익 100억
(2)의 경우
(차) 미수금 100억 (대) 특별이익 90억
___________________현재가치할인차금 10억
즉, (2)의 경우 대차대조표에는 미수금이 아래와같치 90억(현재가치)로 표시되게 되고,
손익계산서상 불로소득(특별이익)은 90억이 반영됩니다.
미수금 100억
현재가치할인차금 (10억)
미수금 순액 90억
물론 위 (2)의 분개에서 굳이 현재가치할인차금 계정을 사용하지 않고 차변의 미수금의 90억으로 처리해
버릴 수도 있겠지만, 일단 당첨금의 명목가액은 100인데 현재가치로 계산해보니까 10억만큼 빠지더라...
이런 유용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때문에 위와 같은 방법이 많이 사용됩니다.
결국, 현재가치 회계를 적용하지 않으면 (1)과 (2)의 경우 모두 (1)처럼 회계처리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미수금의 가치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무제표에 나타내지 않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오늘날 좀 짜증나고 복잡하지만 현재가치 회계를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회계원칙(GAAP)에 규정하고 있는 것입니다.
내가 로또 100억에 당첨됐는데
(1) 오늘 당장 받을 수 있는 경우와
(2) 1년뒤에 받을 수 있는 경우의 두가지 경우가 있다고 칩시다.
나는 기자들에게 들볶이는 걸 무지 싫어해서 로또복권을 다른 사람에게 팔려고 합니다.
이때 사려는 사람이 있다면 당연히 (2)의 경우 100억을 다 주고 사지는 않을 겁니다.
(1)의 경우 로또복권을 사려는 사람들로부터 형성되는 합리적인 가격이 100억이고,
(2)의 경우 형성가격이 예를 들어 90억이라고 합시다.
따라서, 아래의 등식이 성립됩니다.
90억 + 90억 x R = 90억 x ( 1 + R ) = 100억
계산하면 R = 10% 가 되고 10%가 의미하는 것은 로또복권을 사려는 사람이 로또복권을 사지 않고,
다른데에 투자해서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수익률이 연간 10%라는 것입니다. (기회비용 개념)
이런 내용을 회계처리에 결부시키면, 로또복권 당첨확인순간 다음과 같이 회계처리가 달라집니다.
(1)의 경우
(차) 미수금 100억 (대) 특별이익 100억
(2)의 경우
(차) 미수금 100억 (대) 특별이익 90억
___________________현재가치할인차금 10억
즉, (2)의 경우 대차대조표에는 미수금이 아래와같치 90억(현재가치)로 표시되게 되고,
손익계산서상 불로소득(특별이익)은 90억이 반영됩니다.
미수금 100억
현재가치할인차금 (10억)
미수금 순액 90억
물론 위 (2)의 분개에서 굳이 현재가치할인차금 계정을 사용하지 않고 차변의 미수금의 90억으로 처리해
버릴 수도 있겠지만, 일단 당첨금의 명목가액은 100인데 현재가치로 계산해보니까 10억만큼 빠지더라...
이런 유용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때문에 위와 같은 방법이 많이 사용됩니다.
결국, 현재가치 회계를 적용하지 않으면 (1)과 (2)의 경우 모두 (1)처럼 회계처리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미수금의 가치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무제표에 나타내지 않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오늘날 좀 짜증나고 복잡하지만 현재가치 회계를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회계원칙(GAAP)에 규정하고 있는 것입니다.
'財務會計재무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자의 회계처리 (0) | 2007.08.21 |
---|---|
주식회사의 자본금 (0) | 2007.08.17 |
재고자산 평가손실과 감모손실 (0) | 2007.08.17 |
유형자산의 감액손실 (0) | 2007.08.16 |
매도가능증권의 회계처리 (0) | 2007.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