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오랫동안 재무회계 공부를 안한 모냥이닷..
기억이 가물가물 빠른 습득은 빠른 기억상실증을 낳는다
아무튼 간만에 이론 시험을 봤는데 완전 전멸
아~ 공부가 제일 어려웠어요.....
---------------------------------------------------------------------------------------------
1. 장부상 수량과 실제수량의 차이. 없어진 재고가 감모손실.
(1) 총 재고자산감모손실
1) A재고 : (1,000개 - 500개) *300원 = 150,000원
2) B재고 : (2,000개 - 1,500개)*200원 = 100,000원
3) C재고 : (3,000개 - 2,500개)*100원 = 50,000원
4) 계 : 300,000원
(2) 정상적인 감모손실(60%) => 매출원가에 포함시킴
(3) 비정상적인 감모손실(40%) => '재고자산감모손실' 이라는 과목으로 영업외 비용처리
2. 재고자산평가손실은 저가법평가에 따라 발생한다. 여기서 저가법이란 장부상금액과
순실현가액중 낮은 금액으로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1) 재고자산평가손실
1) A재고 : 25,000원
ㅇ 장부상금액 : 500개*300원=150,000원
ㅇ 순실현가액 : 500개*250원=125,000원
2) B재고 : 150,000원
ㅇ 장부상금액 : 1,500개*200원=300,000원
ㅇ 순실현가액 : 1,500개*100원=150,000원
3) C재고 : 0원 (저가법이란 둘중 더 낮은금액으로 평가하는 것)
ㅇ 장부상금액 : 2,500개*100원=250,000원
ㅇ 순실현가액 : 2,500개*200원=500,000원
4) 총 재고자산평가손실 = 175,000원
(2) 처리방법 : 매출원가에 가산하고 동금액만큼 재고자산을 간접적으로(평가계정으로) 차
감한다.
3. 손익계산서상 표시
매출원가
기초재고 1,000,000
당기매입 10,000,000
기말재고 (700,000) <주1>
매출이외의상품감소액 (120,000) <주2>
재고자산평가손실 175,000
--------------
계 10,355,000
영업외비용
재고자산감모손실 120,000 <주2>
<주1> 실제재고액*취득원가( => 평가손실이 반영되기전 금액)
500*300 + 1,500*200 + 2,500*100 = 700,000원
<주2> 비정상적인 감모손실 => 영업외비용처리
300,000*40% =120,000원
==> 기말재고가액이 실제재고이므로 비정상감모손실을 매출원가에서 빼주지 않으면
총감모손실 모두가 매출원가에 포함되게 된다.
4. 회계처리
차) 매출원가 1,000,000 대) 재고자산(기초) 1,000,000
차) 매출원가 10,000,000 대) 매 입 10,000,000
차) 재고자산(기말) 700,000 대) 매출원가 700,000
차) 재고자산감모손실 120,000 대) 매출원가 120,000
차) 매출원가(평가손실) 175,000 대) 재고자산평가손실충당금 175,000
**'재고자산평가손실충당금'은 B/S과목으로 '재고자산'을 차감시키는 평가계정
부분대차대조표 (2004.12.31 현재)
---------------------------------------------------------------------------------------
재고자산 700,000
재고자산평가손실충당금 (175,000)
525,000
----------------------------------------------------------------------------------------
'財務會計재무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회사의 자본금 (0) | 2007.08.17 |
---|---|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와 명목가액의 차이 (0) | 2007.08.17 |
유형자산의 감액손실 (0) | 2007.08.16 |
매도가능증권의 회계처리 (0) | 2007.08.16 |
국민연금전환금 (0) | 2007.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