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적으로 자금이 부족한 금융기관이, 자금이 남는 다른 곳에 자금을 빌려달라고 요청하는 것이 콜이며, 이러한 금융기관간에 발생한 과부족(寡不足) 자금을 거래하는 시장이 콜시장이다. 콜자금의 거래는 금융기관이 공동출자한 한국자금중개와 서울외국환중개(금융결제원 지분 100%) 에서 양분하여 거래 되고 있으며 한국은행에서 두 회사의 거래를 집계하여 가중평균한 금리를 공시하고 있다.
콜시장은 금융시장 전체의 자금흐름을 비교적 민감하게 반영하는 곳이기 때문에 이곳에서 결정되는 금리를 통상 단기실세금리지표로 활용하고 있다.
콜금리는 재정자금의 동향이나 개인 기업의 현금수요 등을 배경으로 한 금융시장의 수급사정에 의해서 변동하는데, 사실상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통제한다. 따라서 경기과열로 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면 콜금리를 높여 시중 자금을 흡수하고 경기가 너무 위축될 것 같으면 콜금리를 낮추어 경기를 활성화시키는 방안을 세우는 등 매달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하고, 통화안정증권이나 국채를 시중은행과 사고 파는 방식으로 시중의 자금량을 조절한다.
--------------------------------------------------------------------------------------------- |
|
콜금리에서 콜(call)이란 "자금을 요청한다"는 의미이며, 이말은 금융회사간에 자금을 빌려주고 빌리는 자금거래를 일컬는 말입니다.
또한 콜이란 단기자금거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콜금리란 "금융회사간 단기로 거래되는 자금대차의 이자율"이란 뜻이 되며, 일반적 의미로는 "은행간 단기일 자금거래시에 적용되는 연간 이자율"이 됩니다.
은행도 서로 돈을 빌리고 빌려주며 물론 이자도 받습니다.
그중에서 초단기(통상 1일에서 3일정도) 거래시에 적용되는 이자율이므로 중장기 거래에는 별도 약정 이자율이 적용되겠지요.
콜금리의 정의가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콜금리가 갖는 의미가 매우 중요한 데, 그 이유는 콜금리가 현대 경제시장의 모든 시중금리의 기초가 되기 때문입니다.
이말은 자본주의 경제하에서 모든 시장금리는 콜금리에 그 기반을 두고 있으며, 콜금리의 변동에 따라 경제시장 이자율이 변동하며 이는 곧 거시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쳐 한 국가와 세계경제에 영향을 가져오는 것입니다.
시장 이자율을 조정하는 것은 국가의 경제정책 중 매우 중요하고 영향이 크기 때문에 콜금리의 변동은 국가의 경제정책이 어떤 식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반증이 되는 것입니다.
어제 뉴스에서 한국은행 총재가 현재의 콜금리 4.25%를 계속 유지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실제로는 시중에 통화가 넘 많아 금리를 인상해야 하지만 그럴 경우 전 세계적으로 나빠지고 있는 경제상황과 한국의 경제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현행의 금리를 그대로 유지할 계획이란 뜻입니다.
콜금리의 의미를 잘 알아두시면 경제정책의 방향을 가름할 수 있답니다.
금리란 말그대로 빌린 댓가로 지불하는 것을 말하죠
즉 자금은 낼 들어오는데 오늘 어음 결재건이 있으면 콜을 땡겨쓰고 낼 상환하는 초단기성 자금을 말합니다.
요즘에는 일반기업에 콜을 주는 은행이 거의 없죠 콜금리란 쉽게 말해 금융기관끼리 남거나 모자라는 자금을 서로 주고 받을 때 적용되는 금리를 말한다.
금융기관들도 예금을 받고 기업에 대출을 해 주는 등 영업 활동을 하다 보면 자금이 남을 수도 있고 급하게 필요한 경우도 생기게 된다.
이런 금융기관 상호간에 발생한 과부족(寡不足) 자금을 거래하는 시장이 바로 콜시장이다.
콜자금의 거래는 금융기관들이 공동출자한 ''한국자금중개''라는 회사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콜시장은 금융시장 전체의 자금 흐름을 민감하게 반영하는 곳이기 때문에 이 곳에서 결정되는 금리를 통상 단기 실세 금리 지표로 활용하고 있다.
콜금리는 금융기관간 적용되는 금리이지만 사실상 한국은행이 통제를 하고 있다.
한국은행의 상부 기구인 금융통화위원회는 매달 한 차례씩 정례회의를 열고 그 달의 통화정책 방향을 정한다.
경기과열로 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면 콜금리를 높여 시중 자금을 흡수하고 경기가 너무 위축될 것 같으면 콜금리를 낮추어 경기활성화를 꾀하는 것이다.
한국은행은 통화안정증권이나 국채를 시중은행과 사고 파는 방식으로 시중의 자금량을 조절한다.
그에 따라 콜금리 수준이 결정되면서 한국은행이 생각하는 금리목표치 근처에서 움직이게 된다
| |